본문 바로가기
생각거리

2025년 조기 대선 후보자 및 공약 총정리 | 4월 21일 기준 최신 업데이트

by fondest 2025. 4. 21.
반응형

2025년 조기 대선 후보자 및 공약 총정리 | 4월 21일 기준 최신 업데이트

2025년 6월 3일로 확정된 조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의 후보자들이 본격적으로 출마를 선언하고 공약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 이후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이번 대선의 주요 후보자와 그들의 핵심 공약, 그리고 정당별 후보 선출 과정을 정리해드립니다.

정당별 후보자 선정 과정

더불어민주당 경선 결과

충청권 경선: 4월 19일 충청권 순회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88.15%의 득표율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습니다. 김동연 후보는 7.54%, 김경수 후보는 4.31%를 기록했습니다.

영남권 경선: 4월 20일 영남권 순회경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90.81%의 득표율로 다시 한 번 압승을 거두었습니다. 김경수 후보는 5.93%, 김동연 후보는 3.26%를 기록했습니다. 이로써 이재명 후보는 누적 득표율 89.56%를 기록하며 대세론을 입증했습니다.

평가: 이재명 후보의 연이은 압승은 당내 지지 기반의 견고함을 보여주며, 향후 경선에서도 유리한 위치를 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민의힘 토론회 결과

4월 20일 열린 1차 경선 토론회에서는 김문수, 한동훈, 홍준표 후보가 유력한 진출자로 평가받았고, 나경원과 안철수 후보가 마지막 한 자리를 두고 경합 중입니다.

평가: 후보 간 입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정책 논의보다는 정치적 설전이 중심이 되어 깊이 있는 토론이 부족했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특히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 차이는 당내 갈등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주요 후보

  • 이재명 – 경제 성장과 사회 통합 정책, 공수처 강화, 검찰 수사·기소 분리 공약
  • 김경수 – '빛의 연정', 정치 혁신, 지역 균형 발전, 지방 분권 강조
  • 김동연 – 디지털 전환, 교육·일자리 기반의 기회국가 실현 제안

국민의힘 주요 후보

  • 한동훈 – 강한 리더십, 법치주의 회복, 공정사회 구현 위한 사법개혁 공약
  • 김문수 – 노동시장 개혁, 보수 진영 재건 및 청년층 공략 정책
  • 홍준표 – 국방·외교·통일 중심 비전, 행정 경험 기반 국정 운영 강조
  • 안철수 – 과학기술 기반의 중도 통합 정책, 디지털 혁신 중심 공약
  • 나경원 – 보수 통합, 여성·가족 중심 정책 확대
  • 이철우 – 지역 균형 발전 및 지방 경제 활성화
  • 유정복 – 도시 재생과 수도권 중심의 경제 전략 제시
  • 양향자 – 과학기술 진흥, 교육 혁신, 여성·청년 지원 정책

개혁신당

  • 이준석 – 정치 세대교체, 디지털 민주주의, 2030 세대 중심 혁신 공약

진보당

  • 김재연 – 평등·정의 중심 복지국가, 노동자 권익 강화 공약
  • 강성희 – 사회적 약자 보호, 복지 확대, 지속 가능한 환경 정책

정의당

  • 권영국
    • 선거제 개편
    • 노조법 2·3조 개정
    • 시민최저소득 100만 원 도입
    • 상위 0.1% 초부유세 신설
    •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
    • 낙태죄 대체입법 및 동성혼 법제화
    • 인권 존중 기반의 난민법 제정

무소속 및 제3지대

  • 황교안 – 법치주의·안보 강화, 보수 통합 및 윤석열 전 대통령 계승 노선 강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