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실업급여 시리즈 전체 보기
1편. 실업급여 자격 요건 완벽 정리 | 2편.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과 수급 기간 | 3편. 신청 절차와 준비 서류 | 4편. 수급 중 주의사항과 부정수급 | 5편. 문제 발생 시 대처법
1편. 실업급여 자격 요건 완벽 정리 | 2편. 실업급여 금액 계산법과 수급 기간 | 3편. 신청 절차와 준비 서류 | 4편. 수급 중 주의사항과 부정수급 | 5편. 문제 발생 시 대처법
실업급여 신청 절차와 준비 서류 | 워크넷부터 고용센터까지 한눈에 정리
실업급여 신청,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요?
처음 접하는 분들도 걱정 마세요. 이번 글에서는 신청 절차를 순서대로, 필요한 서류는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 STEP 1. 워크넷 구직 등록
실업급여는 ‘구직자’에게만 지급됩니다. 따라서 고용노동부 공식 취업사이트 워크넷에 구직신청을 먼저 해야 합니다.
- 워크넷 회원가입 및 로그인
- 이력서 등록
- 구직신청서 제출
🏢 STEP 2. 고용센터 방문 신청
워크넷 등록 후, 주소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실업신고를 해야 합니다. 이때 이직확인서가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반응형
📂 필요 서류
- 신분증 (주민등록증 또는 운전면허증)
- 이직확인서 (사업장이 고용보험 시스템에 등록)
- 통장사본 (본인 명의)
🎓 STEP 3. 수급자 기본 교육 수강
실업급여 신청자는 반드시 온라인 교육 또는 집체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마쳐야 지급 절차가 시작돼요.
- 온라인 교육: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이수 가능
- 교육 내용: 수급조건, 구직활동 방법, 부정수급 주의사항 등
💵 STEP 4. 구직활동과 급여 지급
교육 수료 후 7일의 ‘대기 기간’을 거친 뒤 실업급여가 지급되기 시작합니다.
매 차수 지급 시마다 정해진 횟수의 구직활동을 보고해야 하며, 고용센터 출석일에 맞춰 확인받아야 합니다.
⏱ 구직활동 인정 예시
- 입사지원 및 결과 확인
- 면접 응시
- 직업훈련 수강
- 창업 준비(사업계획서 포함)
📌 실업급여 신청 흐름도
🔔 TIP: 온라인 신청도 가능!
고용센터 방문이 어렵다면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단, 반드시 구직등록과 수급자 교육을 이수한 후 가능합니다.
📌 마무리
신청 절차는 처음 보면 복잡해 보이지만, 워크넷 구직등록 → 고용센터 방문 → 수급자 교육 → 구직활동 → 실업급여 지급이라는 순서를 기억하시면 간단해요!
👉 다음 글: 4편: 수급 중 주의사항과 부정수급 사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