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정보

공공임대주택 당첨 후 해야 할 일 │ 계약부터 입주까지 완벽 가이드

by fondest 2025. 4. 14.
반응형

 

 

공공임대주택 당첨 후 해야 할 일 총정리 │ 계약부터 입주까지 완벽 가이드

공공임대주택 당첨! 설레는 마음과 함께 “이제 뭘 해야 하지?”라는 고민도 함께 찾아오죠.
당첨은 시작일 뿐, 계약부터 서류 제출, 이사 준비, 입주 후 행정처리까지 여러 단계를 차근차근 밟아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공임대주택 당첨자들이 반드시 해야 할 일을 순서대로 정리해 드릴게요.
2025년 기준, LH 및 SH 등 대부분의 공공기관 기준에 맞춰 안내드립니다.

✅ 1단계: 당첨자 발표 확인 후 가장 먼저 할 일

  1. 당첨자 발표 확인
    • LH청약센터 또는 SH공사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
    • 문자 알림도 오지만 직접 조회 권장
  2. 계약 일정 및 장소 확인
    • 계약일정 및 구비서류 공고 확인
    • 1~2주 내 계약 체결 필수
  3. 계약금 준비
    • 보증금의 약 10~20% 납부
    • 계약일에 무통장입금 또는 계좌이체

📝 2단계: 계약 시 준비할 서류

임대 유형과 신청자 유형에 따라 다르지만, 기본적으로 다음 서류가 필요해요.

서류명 발급처
주민등록등본 동주민센터 또는 정부24
가족관계증명서 동주민센터 또는 정부24
혼인관계증명서 (신혼부부) 정부24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국민건강보험공단
소득금액증명원 국세청 홈택스
자동차등록증 (보유 시) 민원24
통장사본 개인 은행

※ 3개월 이내 발급본만 유효하며, 일부 서류는 온라인 제출 가능

📦 3단계: 이사 준비 시작!

계약 후 입주 가능일자가 확정되면 이사 준비에 돌입해야 해요.

🧾 체크리스트

  • 이삿짐센터 견적 비교 및 예약
  • 가스·전기·수도 개통 신청
  • 입주자 사전점검 참여 (하자 확인 필수!)
  • 벽지·바닥 등 시공 여부 확인
  • 인터넷, TV 설치 예약

💡 팁: 사전점검 시 사진과 영상을 찍어 두세요. 하자 접수에 유리합니다.

반응형

🏡 4단계: 입주 당일과 이후 해야 할 일

  • 주민센터 전입신고 (정부24 또는 직접 방문)
  • 자동차 주소 변경 (전입신고 시 자동 연동 가능)
  • 우편물 주소 이전 (은행, 카드사, 쇼핑몰 등)
  • 관리사무소 방문 (입주 확인 및 출입증 발급)
  • 공과금 자동이체 신청 (관리비, 전기요금 등)

📎 추가 꿀팁

  • 입주 전 상태를 영상으로 기록하면 분쟁 방지에 도움돼요.
  • 입주 후 1개월 내 하자 보수 신청 가능
  • 관리비는 입주 후 익월부터 청구됩니다. 자동이체 추천!

✨ 마무리하며

공공임대주택 당첨은 새로운 시작의 신호탄입니다.
계약 → 서류제출 → 이사 → 입주 → 행정처리까지, 한 단계씩 준비하면 안정된 주거 생활이 가능해요.

이 글이 여러분의 입주 여정에 작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반응형